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
연구실·LMO 안전교육시스템
시험·연구용 LMO 정보시스템
연구실 유해인자 관리시스템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
연구실안전교육시스템
시험·연구용 LMO 정보시스템
연구실 유해인자 관리시스템
사이트바로가기
닫기
기관신규등록
회원가입
로그인
사이트맵
Toggle navigation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
통합검색
통합검색
검색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홈
>
법령정보
>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제1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제2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제3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제4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연구실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연구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5년마다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
제1차 연구실안전환경조성 및 기반구축종합계획(08년~12년) - 05년 3월 제정, 06년 4월 시행
제2차 연구실안전환경조성 및 기반구축종합계획(13년~17년) - 11년 3월 개정, 9월 시행 박근혜 정부공약(창조경제, 안전한 사회) 예방 중심의 연구실. 위험 예측, 예방, 대응 연구개발 성과 제고
제1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목표
연구실 안전사고의 예방과 연구활동 종사자 보호
쾌적한 연구환경 조성을 통한 연구전념 및 생산성 제고
추진전략
법·제도적 기반구축을 통한 지원시책의 실효성 확보
안전 취약 4개 분야 9개 중점추진과제의 발굴·시행
연구주체의 자율적 참여 및 인식제고 등 파급효과 거양
안전교육 및 홍보 강화 등으로 안전문화 확산
4개분야 9개 중점추진과제
안전 취약분야의
발굴·제도개선
연구실 안전관리 기초현황 및 사고의 조사·분석
입법수요 발굴 및 법적 제도화
발전방안의 의견수렴체제 구축
효율적인 안전환경
개선 시책 추진
정밀 안전진단 확충 및 안전환경 개선 지원 확대
안전 전문센터 육성 및 권역별 체제 구축
자율적 안전관리체제
구축ㆍ지원
연구실 안전관리 기준 개발·보급
적정 안전관리비 확보 및 보상 체계확립
안전교육 강화 및
안전문화 확산
연구실 안전관리 교육·훈련 강화
안전홍보 강화 및 안전문화 확산
제2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비전
창조적 과학기술, 안전한 연구환경
선제적 예방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연구환경 조성
추진전략
전략1
안전환경 안전관리 제도 개선 추진
전략2
연구환경안전관리 전문기관의 단계적 설립 운영
전략3
연구실 환경[E] - 연구원 건강[H] - 연구실 안전[S]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3대목표 및
중점 추진과제
선제적 위험관리체제 구축
연구환경 안전관리체제 구축
연구활동 위험평가체제 구축
국제 수준의 안전관리 기반 구축
자율적 안전관리 역량강화
및 문화정책
자율적 안전관리 역량 강화
수요자 중심 맞춤형 교육 실시
연구실 안전 홍보 강화
건강한 연구환경 조성
연구실 화학ㆍ생물학 유해인자
안전관리
연구자 건강관리 수준 향상
예방적 안전관리를 위한
연구개발 추진
EHS 통합관리 토대 구축
제2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다운로드
제3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비전
안전한 연구환경 조성을 통한
과학기술 인재 보호 및 역량 강화
목표
연구안전의
지능화ㆍ전문화
로
현장중심
자율 안전관리
기반 조성
3대 핵심
전 략
Ⅰ.안전의 정보화ㆍ지능화를
통한 연구자 보호 강화
1-1. 위해인자 DB구축ㆍ활용
[AI]으로 안전정보 선제적
제공
1-2. 사고분석[Bigdata 등]을
통한 재발방지
1-3. 자율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및 확산
Ⅱ.연구 안전의
산업화ㆍ전문화
2-1. 연구안전의 산업화 기반
마련
2-2. 국가전문자격제도 신설
및 전담조직[인력] 확충
2-3. 전문기관 설립을 통한 연구실
안전 컨트롤타워 구축
Ⅲ.현장맞춤형 안전관리
체계 구축
3-1. 민관 역할분담을 통한 교육
제도 효율화
3-2. 안전점검ㆍ진단의 내실화
3-3. 현장검사 개편을 통한 연구
현장부담 완화
제3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다운로드
제4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비전
안심하고 연구할 수 있는 과학기술 안전강국 실현
추진방향
연구실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자율적 안전관리 기반 강화
추진전략 및
세부과제
I. 안전취약기관 선제적
안전확보
1. 연구현장 검사체계 개선
2. 기관의 안전역량 강화
II. 신속한 사고대응
체계 확립
1. 정보공유 및 협력채널 활성화
2. 피해지원 및 사고관리 강화
III. 현장중심 안전관리
기반 강화
1. 안전 기준·기술개발
2. 안전교육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3. 법제도 개선 및 문화 확산
제4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