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개
정부가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 설치된 과학기술분야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연구 환경 및 시설 개선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
- 신청기간 : 매년 2~4월 중 모집
- 신청대상 : 법 적용 대상 대학, 연구기관, 기업부설 연구소
업무절차

안내영상
- 사업목적, 절차, 우수기관 사례 및 관계자 인터뷰 등을 포함한 영상(지원내용, 선정기준 등 '18년 사업기준 제작)
신청서류
- 「연구실 안전환경 개선 지원사업」 신청서 제출 공문(기관장 직인 날인)
- 안전환경 개선사업 신청서 및 계획서
'21년 사업 규모
- 지원규모 : 기관당 최대 5천만원, 30개 기관 내외
- 지원항목 : 연구실 위해요소 제거 및 안전환경 구축 등에 필요한 항목(자세한 사항은 공고문 참고)
'21년 주요 지원내용
연구실 표준모델 구축
일반(시설) ‹66㎡ 기준›
바닥 |
천정·벽체 |
출입문 |
창문 |
 내화학성 에폭시계열 |
 석고보드 또는 기밀 판넬 |
 방화문 |
 안전유리 설치로 파편 최소화 |
공통 |
환기 |
실험실 구분 |
 화재감지기, 가스누출감지기, 분전반, 유도 등 소방 및 안전설비 |
 ① 전체 환기장치 有 : 팬 교체, 필터망 설치, 단독환기 ② 전체 환기 장치 無 : 팬 설치, 덕트, 필터망 설치, 단독환기 |
 가벽 설치 |
폐기물 안전관리
- (폐기물 보관시설 구축) 폐기물 특성에 적합한 보관시설 구축비용
- (폐기물 안전용품 구입) 폐시약 보관함, 폐시약 이동Cart 등 안전용품 구입비용
- (폐기물 처리비용 지원) 장기 미사용 폐시약, 독성가스 등 처리비용
연구실 표준모델 구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
스마트 안전 에이전트 |
IoT 환경/안전관리 솔루션 |
 |
 |
 |
참고 : '2018년 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편람', 한국사물인터넷협회
연구실 안전장비
일반분야 |
가스분야 |
화학·생물분야 |
소방분야 |
 개인보호구(PPE), 안구세척기, SPILL KIT 등 |
 가스 실린더 캐비닛, 가스누출경보장치, 전도방지장치 등 |
 시약보관캐비닛, 홈후드, BSC(생물안전작업대) 등 |
 소방담요, 비상조명 등, 제세동기(AED) 등 |